공무원 국어-주의해야 할 표준어규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우리가 쓰는 국어에서는 여러가지 표현법이 있습니다만 그 중 기준을 정한 것이 표준어 입니다.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1항에 나와있는 표현입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쓰는 언어를 표준어로 삼겠다는 뜻이죠. 표준어는 "두루 쓰는" 즉, 사람들에게 많이 불려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표준어가 없어지거나 두루 쓰이는 말로 변동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표준어는 실제 두루 쓰이는 지에 따라 뜻과 의미가 변화하고 있습니다.공무원 국어에서 표준어 파트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공부하지 않고 넘어갈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저번 시간에 주의해야 할 외래어표현에 이어서 오늘은 주의해야 할 표준어 규정에 대하여 알봅시다.
주의 해야 할 표준어 규정
잘못되 표현 | 표준어 | 잘못된 표현 | 표준어 |
끄나불 | 끄나풀 | 나발꽃 | 나팔꽃 |
녁 | 녘 | 부억 | 부엌 |
삵괭이 | 살쾡이 | 떨어먹다 | 털어먹다 |
가을카리 | 가을갈이 | 거시키 | 거시기 |
강남콩 | 강낭콩 | 고샅 | 고삿 |
삭월세 | 사글세 | 위력성당 | 울력성당 |
가리 | 갈비 | 갈모 | 갓모 |
구젓 | 굴젓 | 저으기 | 적이 |
수지 | 휴지 | 세째 | 셋째 |
두째 | 둘째 | 숫놈 | 수놈 |
숫사돈 | 수사돈 | 숫소 | 수소 |
숫은행나무 | 수은행나무 | 수퀑 | 수꿩 |
숫강아지 | 수캉아지 | 숫개 | 수캐 |
숫것 | 수컷 | 숫기와 | 수키와 |
숫닭 | 수탉 | 숫당나귀 | 수탕나귀 |
숫돌쩌귀 | 수톨쩌귀 | 숫돼지 | 수퇘지 |
숫병아리 | 수평아리 | 수양 | 숫양 |
수염소 | 숫염소 | 수쥐 | 숫쥐 |
깡총깡총 | 깡충깡충 | 발가송이 | 발가숭이 |
보통이 | 보퉁이 | 뻗장다리 | 뻗정다리 |
주초 | 주추 | 부주 | 부조 |
사둔 | 사돈 | 삼춘 | 삼촌 |
남비 | 냄비 | 동당이-치다 | 동댕이-치다 |
아지랭이 | 아지랑이 | 미쟁이 | 미장이 |
유기쟁이 | 유기장이 | 멋장이 | 멋쟁이 |
소금장이 | 소금쟁이 | 담장이-덩굴 | 담쟁이-덩굴 |
골목장이 | 골목쟁이 | 발목장이 | 발목쟁이 |
웃니 | 윗니 | 웃도리 | 윗도리 |
웃머리 | 윗머리 | 웃몸 | 윗몸 |
웃자리 | 윗자리 | 웃입술 | 윗입술 |
웃짝 | 위짝 | 웃채 | 위채 |
웃층 | 위층 | 웃치마 | 위치마 |
웃턱 | 위턱 | 웃팔 | 위팔 |
윗국 | 웃국 | 윗기 | 웃기 |
윗돈 | 웃돈 | 윗비 | 웃비 |
윗어른 | 웃어른 | 윗옷 | 웃옷 |
개다리밥상 | 개다리소반 | 맞상 | 겸상 |
높은밥 | 고봉밥 | 뜸단지 | 부항단지 |
잇솔 | 칫솔 | 총댕이 | 포수 |
둥근파 | 양파 | 귓머리 | 귀밑머리 |
마기 | 막상 | 까무느다 | 까뭉개다 |
역스럽다 | 역겹다 | 코보 | 코주부 |
새벽별 | 샛별 | 풋머슴 | 선머슴 |
속소리 | 속말 | 생강손이 | 새앙손이 |
손구루마 | 손수레 | 팔목시계 | 손목시계 |
수도고동 | 수도꼭지 | 고랑쇠 | 쇠고랑 |
다시마자반 | 부각 | 빠치다 | 빠뜨리다 |
왜긋다 | 뻣뻣하다 | 등떠리 | 등때기 |
등칡 | 등나무 | 광우리 | 광주리 |
참감자 | 고구마 | 골목자기 | 골목쟁이 |
까치다리 | 까치발 | 길앞잡이 | 길잡이 |
기롱지거리 | 농지거리 | 성냥일 | 대장일 |
떡충이 | 떡보 | 우미다 | 매만지다 |
외래어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이해+암기 파트입니다.
5년 전까지만 해도 공무원 국어 암기 3대장은 외래어표기법+표준어 규정+고사성어 이였습니다만, 최근 들어서 문법문제 비중이 대폭 낮아지고 수능형 문제인 문학,비문학이 대부분 점령 하였기 때문에 암기의 비중은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수능형식으로 출제되는 국어에서는 이해능력이 중요한 반면, 문법 위주의 출제는 암기가 중요시 됩니다. 문법이 주로 출제 된다면, 문법은 공부하지 않고 맞추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만, 수능형식의 문제는 단지 감이 좋은 사람에게는 높은점수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 부정적으로 바라보시는 분도 계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