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 / 2022. 6. 26. 16:21

공무원 국어-음운의 변동 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공무원 국어-음운의 변동 현상에 대해 소개합니다. 공무원 국어 문법 파트중에서 음운의 변동이라는 파트가 있습니다. 여기서 음운의 변동이란 어떤 형태소가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 그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음운의 변동을 크게 분류 하면 교체, 축약, 탈락, 첨가로 나뉘며 'A라는 음운변동 현상이 과연 4가지 중 어디에 해당하나?' 라는 식의 출제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공무원 국어에서 문법의 비중이 크게 줄어 중요도는 감소 하였지만, 그래도 몇 안되는 문제 중에서는 나올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수험생들이 분류를 혼동하기 쉽기 때문에 확실히 정리하여 두면 음운변동 파트에 대해서 두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음운의변동-개념
음운의변동-개념

 

목차
1. 교체
2. 축약
3. 탈락
4. 첨가

 

1. 교체

 

특정 음운이 다름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교체 내용 예시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소리 자리에서 모든 자음이 ㄱ,ㄴ,ㄷ,ㄹ,ㅁ,ㅂ,ㅇ 으로 발음 잎[입], 밖[박]
2 된소리되기 된소리가 되는 현상 옷고름[옫꼬름]
3 비음화 ㅂ,ㄷ,ㄱ + ㄴ,ㅁ = ㅁ,ㄴ,ㅇ 국물[궁물]
4 유음화 ㄴ이 앞뒤의 ㄹ의 영향을 받아 ㄴ▶ㄹ 난로[날로]
5 구개음화 ㄷ,ㅌ + ㅣ = ㅈ,ㅊ 해돋이[해도지]
6 ㅣ모음 역행동화 앞 음절의 후설 모음이 뒤 음절 'ㅣ' 모음의 전설성에 이끌려 전설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아지랑이▶아지랭이
(표준 발음 X)

 

2. 축약

 

두 음운이 하나로 줄어드는 현상

 

  축약 내용 예시
1 거센소리(자음) ㅂ,ㄷ,ㅈ,ㄱ + ㅎ = ㅍ,ㅌ,ㅊ,ㅋ 국화[구콰]
2 이중모음(모음) l + ㅗ,ㅜ ▶반모음화 보 + 아 = 봐

 

3. 탈락

 

두 음운 중에 하나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탈락 내용 예시
1 ㄹ탈락 합성어 파생어의 경우 ㄴ,ㄷ,ㅅ,ㅈ 앞에서 용언의 경우 ㄴ,ㅂ,ㅅ,-오,-오니 앞에서 탁락하는 현상 솔 + 나무 = 소나무
2 ㅎ탈락 용언의 어간 말 자음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접사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표기에는 반영하지 않는다. 좋 + 은 = 좋은[조은]
3 자음군 단순화 음절의 끝에 두 개의 자음이 올때, 이중에서 한 자음이 탈락하는 현상 넋[넉], 앉다[안따]
4 ㅡ탈락 ㅡ + ㅏ,ㅓ 로 시작하는 어미 앞이나 모음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크 + 어서 = 커서
5 동음탈락 앞말의 모음과 뒷말의 모음이 같은 모음일 때 탈락이 일어나는 현상 가 + 아서 = 가서

 

4. 첨가

 

형태소 합성될 때 사이에 음운이 덧붙는 현상

 

  첨가 내용 예시
1 ㄴ첨가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뒷말의 초성 자리에 ㄴ소리가 첨가되어 '니, 냐, 녀, 뇨, 뉴' 로 발음 꽃+잎 =[꼰닙]
2 된소리 합성어인 명사에서 앞말이 모음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할 수 있다. 배+사공=[배싸공/밷싸공]
3 l 모음 순행 동화 뒤 음절의 후설 모음이 앞 음절의 l모음성에 이끌려 이중 모음 'ㅕ, ㅛ'로 바뀌는 현상 되어[되어/되여]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